-
목차
류마티스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건선성 관절염과 같은
자가면역질환(autoimmune disease)은
우리 몸의 면역 체계가 외부 침입자가 아닌
자신의 조직을 공격함으로써 발생하는 복잡한 질환군입니다.이러한 자가면역질환의 근본적인 문제는
면역세포의 과잉 활성화와
염증 신호 전달 체계의 이상에 있습니다.이 복잡한 면역 신호를 조절하기 위해 등장한 약물이
바로 JAK 억제제(Janus kinase inhibitor)이고,
그 대표적인 예가 젤잔즈정(Xeljanz®, 성분명 토파시티닙)입니다.이번 글에서는 젤잔즈정이
어떤 약리기전으로 자가면역질환을 조절하는지,
임상적으로 어떤 효과를 보이는지,
사용 시 주의사항은 무엇인지
전문적인 관점에서 알기 쉽게 정리해드리겠습니다.
젤잔즈정이란 무엇인가?
젤잔즈정은 토파시티닙(Tofacitinib)을 주성분으로 하는
경구용 JAK 억제제입니다.
JAK은 세포 내에서 염증성 사이토카인 신호를 매개하는
Janus kinase라는 효소군을 의미하며,
이 효소를 억제함으로써 과잉 염증 반응을 차단하는 기전을 가집니다.젤잔즈정은
- 류마티스 관절염
- 건선성 관절염
- 궤양성 대장염
- 강직성 척추염
등 다양한 염증성 질환의 치료에 사용되고 있으며,
특히 기존 생물학적 제제(예: TNF-α 억제제)에 반응하지 않거나
불편을 겪었던 환자에게 새로운 경구 치료 옵션으로 각광받고 있습니다.
작용기전 ① – JAK-STAT 경로 억제를 통한 염증 신호 차단
젤잔즈정의 가장 핵심적인 작용기전은
JAK-STAT 경로(Janus kinase-signal transducer and activator of transcription pathway)를 억제하는 것입니다.면역 세포에서 다음과 같은 일이 일어납니다:
- 염증성 사이토카인(예: IL-6, IL-2, IFN-γ)이
세포 표면의 사이토카인 수용체에 결합 - 수용체가 JAK 효소를 활성화
- JAK이 STAT 단백질을 인산화(phosphorylation)
- 인산화된 STAT이 핵으로 이동하여
염증 관련 유전자 발현을 촉진
젤잔즈정은 이 경로 초반부에 작용하여,
- JAK1, JAK3 효소를 선택적으로 억제하고
- STAT 단백질의 활성화를 차단하여
- 최종적으로 염증성 유전자 발현을 억제합니다.
즉, 면역세포의 과잉 활성화를 근본적으로 줄이고,
염증 반응을 빠르게 진정시킬 수 있는 것입니다.
작용기전 ② – T세포 및 B세포 기능 조절
젤잔즈정은 JAK 억제를 통해 단순히 염증 사이토카인을 줄이는 것뿐만 아니라,
T세포와 B세포의 기능에도 영향을 미칩니다.- T세포 활성화 감소
- B세포 분화 억제
- 항체 생산 감소
이러한 조절은 류마티스 관절염, 건선성 관절염, 강직성 척추염 등
자가면역 질환의 병태생리를 보다 근본적으로 조절하는 데 도움이 됩니다.특히, 기존 TNF-α 억제제 실패 환자에서도 효과를 보이는 이유는
다양한 염증 경로를 동시에 조절하기 때문입니다.젤잔즈정은 어떻게 작용할까? 자가면역질환 JAK 억제제 완전 정리
젤잔즈정의 임상 효과: 주요 연구 결과 요약
여러 대규모 임상시험에서 젤잔즈정은
자기면역질환 환자들의 관절 통증, 염증, 기능 장애를 유의미하게 개선하는 것이 입증되었습니다.- ORAL Solo Trial (류마티스 관절염)
→ 3개월 만에 ACR20(관절 증상 20% 개선) 도달률 약 60% - ORAL Sync Trial
→ 메토트렉세이트 병용군에서도 추가 개선 효과 입증 - OCTAVE Trial (궤양성 대장염)
→ 임상적 관해(clinical remission) 비율 유의미하게 상승
또한, 젤잔즈정은 경구 복용이 가능하므로
주사제에 비해 복약 순응도가 높고,
환자 편의성을 크게 향상시킬 수 있습니다.
젤잔즈정 치료 시 고려해야 할 사항
감염 위험 증가
- 면역 억제 작용으로 인해 결핵, 대상포진, 폐렴 등의 감염 위험이 높아질 수 있습니다.
- 치료 전 결핵 검진, 치료 중 감염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혈중 지질 수치 변화
- LDL, HDL 콜레스테롤 상승 가능성
- 주기적인 혈중 지질 모니터링 권장
암 발생 위험
- 장기 면역 억제에 따른 림프종 등 암 발생 가능성에 대한 모니터링 필요
혈전 위험성
- 고용량 사용 시 정맥혈전증 위험이 증가할 수 있다는 보고가 있습니다.
따라서 젤잔즈정 사용 시에는
환자 개별 위험 요소를 철저히 평가하고,
정기적인 검진 및 부작용 모니터링이 반드시 동반되어야 합니다.
젤잔즈정은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새로운 경구 옵션
젤잔즈정은 기존 생물학적 제제와는 다른 방식으로
JAK-STAT 경로를 선택적으로 차단하여
자가면역질환의 염증 반응을 근본적으로 조절하는 약물입니다.- 경구 복용 가능성
- 다양한 자가면역질환에 대한 효과
- 빠른 염증 개선
등의 장점을 통해,
자가면역질환 치료의 패러다임 전환을 이끌고 있습니다.물론, 감염, 혈전, 암 위험성 등 주의해야 할 부작용도 존재하지만,
적절한 환자 선정과 모니터링을 통해 충분히 안전하게 사용할 수 있습니다.앞으로는 더 많은 적응증 확대와,
다른 JAK 억제제와의 비교 연구를 통해
치료 전략이 더욱 정교화될 것으로 기대됩니다.'약리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헌터라제주는 어떻게 작용할까? 헌터증후군 치료의 원리 정리 (0) 2025.04.30 휴미라는 어떻게 작용할까? TNF-α 억제제 약리기전 완전 해설 (0) 2025.04.30 골다공증 치료 혁신, 포스테오주의 약리기전과 임상 효과 (0) 2025.04.29 급성 고요산혈증 응급치료제, 라스부리케이스의 약리기전 알아보기 (0) 2025.04.28 골밀도 빠르게 높이는 주사제, 이베니티는 무엇이 다른가? (0) 2025.04.2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