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T세포의 브레이크를 해제하다: Pembrolizumab은 어떻게 암을 이길까?
현대 항암 치료는 더 이상 ‘암세포만을 직접 공격하는 방식’에 머무르지 않습니다.
이제는 환자 본인의 면역세포가 암세포를 찾아내고 제거할 수 있도록 유도하는 면역항암제 시대입니다.
그 대표적인 약물이 바로 Pembrolizumab(상품명: Keytruda)입니다.Pembrolizumab은 미국 MSD(Merck Sharp & Dohme)에서 개발한 면역관문억제제(Immune Checkpoint Inhibitor)이며,
암세포가 면역세포의 기능을 억제하는 ‘브레이크’를 해제하여
T세포가 암을 다시 공격할 수 있도록 돕는 작용기전을 갖고 있습니다.1. 면역관문(Immune Checkpoint)이란?
면역계는 항상 외부 병원균과 내부 암세포를 구분해 적절히 공격합니다.
하지만 과도한 면역반응은 정상세포까지 손상시킬 수 있기 때문에,
면역세포 내부에는 일정 시점에서 활동을 조절하는 '브레이크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이를 면역관문(Immune Checkpoint)이라 부릅니다.그중 대표적인 관문이 PD-1(Programmed Cell Death-1)입니다.
- PD-1: T세포 표면에 있는 억제성 수용체
- PD-L1/PD-L2: 종양세포 또는 항원제시세포 표면에 발현되는 리간드
정상적인 상황에서 PD-1과 PD-L1의 결합은 자가면역 반응을 막기 위한 안전장치 역할을 하지만,
문제는 암세포가 이 시스템을 악용해 면역의 감시를 피해간다는 점입니다.2. Pembrolizumab의 작용기전: 분자 수준에서 암의 면역 회피를 차단하다
Pembrolizumab은 인간 면역글로불린 G4(IgG4) 단일클론 항체로,
T세포 표면의 PD-1 수용체에 결합하여 PD-L1과의 상호작용을 차단하는 면역관문 억제제입니다.
이 차단 작용은 단순히 리간드-수용체 간 결합을 막는 수준을 넘어,
PD-1 단백질의 입체구조를 변화시켜 T세포의 억제 신호 전달 자체를 원천적으로 봉쇄합니다.구조적 기전
- Pembrolizumab은 PD-1의 C’D 루프(Arg86–Asp92)와 FG 루프(Leu128–Ala132)에 선택적으로 결합하며,
이 부위를 안정화하여 PD-L1이 더 이상 붙을 수 없도록 만듭니다. - 항체의 경쇄(light chain)와 중쇄(heavy chain)는 PD-1과 수소 결합, 소금 다리, 반데르발스 결합을 형성하여
매우 안정적인 복합체를 형성합니다.
분자동역학적 특성
- RMSD 분석: Pembrolizumab이 결합된 PD-1은 평균 0.33nm 수준의 낮은 구조 흔들림(RMSD)을 보여
전체 구조가 안정됨을 시사합니다. - RMSF 분석: FG 루프의 Lys131에서 구조 흔들림이 현저히 줄어들며,
Pembrolizumab 결합 후 PD-1은 더욱 단단히 고정된 형태를 갖게 됩니다. - 수소 결합 수 증가: 결합 후 수소 결합이 76개 이상 형성되며, 시간 경과에 따라 점진적으로 증가합니다.
이와 같은 작용은 PD-L1과 PD-1 간의 상호작용을 구조적으로 차단하여,
T세포의 억제 해제를 유도하고 세포독성 T세포가 다시 활성화되도록 만드는 핵심 기전이 됩니다.결국 Pembrolizumab은 T세포의 자연살해 능력을 되살리는 약물이며,
종양세포가 면역의 감시를 회피하는 ‘위장막’을 제거하는 역할을 수행합니다.(참고문헌: IJMS 2023, 24(11), 10684)
3. Pembrolizumab의 적용 암종과 임상적 의의
Pembrolizumab은 다양한 고형암과 혈액암에서 사용되고 있습니다.
주요 적응증:
- 비소세포폐암(NSCLC)
- 흑색종(Melanoma)
- 신세포암(Renal Cell Carcinoma)
- 두경부암(HNSCC), 방광암, MSI-H 고형암 등
- 조직과 무관한 ‘종양 불문 승인(tumor-agnostic approval)’도 획득
FDA와 EMA는 PD-L1 발현율, MSI-H 여부, TMB 지표 등을 바탕으로
적절한 환자에게 Pembrolizumab을 1차 또는 2차 치료제로 승인하고 있습니다.4. 면역항암제의 부작용과 사용 시 유의점
Pembrolizumab은 화학항암제보다 부작용이 적지만,
면역 이상반응(irAEs)이라는 특수한 부작용 프로파일을 가집니다.주요 irAEs:
- 폐렴, 갑상선 기능 이상, 부신 기능 저하
- 간염, 대장염, 발진, 당뇨병 등
- 치료 중단이 필요한 중증 사례도 존재
따라서 치료 전후로 간기능 검사, 갑상선 기능 검사, 호흡기 상태 모니터링이 필요합니다.
5. 미래의 면역항암 전략에서 Pembrolizumab의 위치
Pembrolizumab은 단독 치료뿐만 아니라 다양한 면역관문 억제제(CTLA-4, LAG-3 등)와의 병용요법,
표적항암제, 세포치료제(CAR-T)와의 조합을 통해 고형암 정복에 핵심적인 치료 플랫폼이 될 전망입니다.앞으로는 Pembrolizumab의 약물 반응 예측 바이오마커, 개인 맞춤형 면역 프로파일링,
AI 기반 면역 분석까지 결합되어
면역항암제의 정밀도와 예측 가능성이 더 강화될 것입니다.6. Pembrolizumab, 면역이라는 무기를 다시 꺼내다
Pembrolizumab은 세포독성 작용을 하지 않습니다.
대신 환자의 면역 시스템이 암세포를 다시 기억하고 공격할 수 있도록 '억제를 푸는 약'입니다.PD-1과 Pembrolizumab의 결합은 단순한 차단이 아닌,
분자구조적 개입을 통해 면역 조절 신호 자체를 근본적으로 차단하는 진보된 항암 전략입니다.
참고문헌
- IJMS 2023, 24(11), 10684. https://doi.org/10.3390/ijms24110684
- FDA Keytruda drug label and MOA (2020-2023)
- NEJM / Lancet Oncology review articles on PD-1 pathway
'약리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Onivyde는 어떻게 작용할까? Liposomal Irinotecan의 약리기전 완전 정리 (0) 2025.04.19 CD19을 잡고 T세포를 유도한다: Blinatumomab의 면역항암 메커니즘 (0) 2025.04.18 Liposomal Doxorubicin의 작용기전과 리포좀 제형기술, 항암치료의 진보 (0) 2025.04.18 항암제의 약리작용과 CAR-T 치료의 기전, 무엇이 다를까? (1) 2025.04.1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