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최근 비만과 제2형 당뇨 치료 시장에서 가장 주목받는 약물은 GLP-1 계열입니다.
대표적으로 위고비(Wegovy), 오젬픽(Ozempic), 마운자로(Mounjaro), 리벨서스(Rybelsus)가 있으며,
이들은 모두 ‘체중 감소 + 혈당 조절’이라는 두 가지 효과를 동시에 제공합니다.이번 글에서는 GLP-1 계열의 약리기전, 약물 간 차이, 임상 특징을 정리합니다.
GLP-1이란?
- GLP-1(Glucagon-like peptide-1)은 소장에서 분비되는 인크레틴 호르몬의 일종입니다.
- 식사 후 분비되어 췌장에서 인슐린 분비를 촉진하고, 글루카곤 분비를 억제하여 혈당을 낮춥니다.
- 위 배출 속도를 늦추고, 시상하부의 식욕중추를 억제하여 식사량 감소를 유도합니다.
GLP-1 계열 약물의 약리기전
기관 주요 작용 세부 설명 췌장 β세포 인슐린 분비 촉진 혈당 상승 시 포도당 의존적으로 인슐린 분비 증가 췌장 α세포 글루카곤 분비 억제 간에서 포도당 생성 감소 위장관 위 배출 지연 포만감 증가, 식사량 감소 중추신경계 식욕 억제 시상하부 POMC 뉴런 활성화, NPY/AgRP 억제
약물별 특징
약물명 성분 투여 경로 반감기 주요 적응증 특이점 위고비 세마글루타이드 주 1회 피하주사 약 168시간 비만, 당뇨 체중감량 효과 가장 우수(평균 15%) 오젬픽 세마글루타이드 주 1회 피하주사 약 168시간 제2형 당뇨 위고비와 동일 성분, 적응증 차이 마운자로 티르제파타이드 주 1회 피하주사 약 120시간 제2형 당뇨, 비만(미국) GLP-1 + GIP 이중 작용 리벨서스 세마글루타이드 경구 약 7시간 제2형 당뇨 세계 최초 경구 GLP-1, 공복·물 120mL 제한 복용
위고비 vs 오젬픽 – 적응증 차이
- 위고비: 체질량지수(BMI) ≥ 30이거나, BMI ≥ 27 + 비만 관련 질환이 있는 경우 비만 치료 목적으로 사용 가능
- 오젬픽: 당뇨병 환자의 혈당 조절 목적으로 승인
- 같은 세마글루타이드 성분이지만 보험 적용·처방 사유가 다르기 때문에 대체 사용 시 주의가 필요합니다.
부작용 및 주의사항
- 가장 흔한 부작용: 메스꺼움, 구토, 변비, 설사
- 드물지만 중요한 부작용: 췌장염, 담석증, 갑상선 C세포 종양 위험(동물실험 근거)
- 주의 환자군: 위장관 질환자, 췌장염 병력자, 갑상선암 가족력 환자
향후 전망
- 경구형·패치형·복합제 GLP-1 제형이 개발 중
- 마이크로니들 패치, GLP-1+SGLT-2 복합제 등 복용 편의성과 효과를 높인 차세대 약물 상용화 기대
정리
GLP-1 계열 약물은 기존 비만·당뇨 치료 패러다임을 크게 바꾼 혁신적인 약물입니다.
약물 간 투여 경로·적응증·복합 작용 여부에 따라 효과와 편의성이 달라지므로,
환자 개개인의 건강 상태와 치료 목표에 맞춰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약리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경구 GLP-1 ‘리벨서스’ 실사용 후기와 최신 연구 결과 (1) 2025.08.14 혈당 스파이크, 위고비로 잡을 수 있을까? GLP-1의 놀라운 혈당 조절 효과 (3) 2025.08.12 위고비 품절 사태, 왜 ‘나눠 맞기’가 유행할까? (4) 2025.08.11 위고비 부작용, 꼭 알아야 할 5가지 — 탈모부터 췌장염까지 (3) 2025.08.09 덱시부프로펜 부작용, 심장까지 영향 줄 수 있다? (4) 2025.08.07