약리작용

Atezolizumab의 작용기전: PD-L1을 차단해 면역을 다시 깨우는 치료제

goosle-2 2025. 4. 20. 22:00

암세포는 면역세포의 공격을 피하기 위해 마치 ‘정상세포인 척’ 위장합니다.
그 핵심 전략이 바로 PD-L1이라는 분자입니다.
면역관문 억제제인 Atezolizumab(아테졸리주맙, 상품명: Tecentriq)은
이 PD-L1을 정밀 타깃하여 T세포의 면역 활성을 회복시키는 항암제입니다.

이번 글에서는 Atezolizumab의 작용기전, 면역 탈억제 메커니즘,
그리고 임상적 활용과 의미까지 깊이 있게 알아보겠습니다.

Atezolizumab의 작용기전: PD-L1을 차단해 면역을 다시 깨우는 치료제

1. 면역관문과 PD-L1의 역할

T세포는 외부 병원체나 비정상 세포를 감지하고 공격하는 강력한 면역 도구입니다.
그러나 이를 무분별하게 사용하면 자가면역 질환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에,
면역계에는 활성화된 T세포를 억제하는 ‘면역관문’ 시스템이 존재합니다.

그중 가장 잘 알려진 관문이 PD-1(PDCD1)과 그 리간드 PD-L1(CD274)입니다.

  • PD-1: T세포 표면에 있는 억제성 수용체
  • PD-L1 / PD-L2: 종양세포 및 항원제시세포(APC) 표면에서 발현

암세포는 이 PD-L1을 다량 발현하여, T세포의 PD-1에 결합함으로써
T세포의 활성을 정지시키고 면역 감시망을 회피합니다.

2. Atezolizumab의 작용기전

: PD-L1을 표적한 이중 면역 탈억제 메커니즘

Atezolizumab은 인간 IgG1 기반의 단클론 항체로서,
PD-L1과 결합하여 다음 두 가지 면역 억제 경로를 동시에 차단합니다.

① PD-L1 ↔ PD-1 상호작용 차단

  • PD-1은 활성화된 T세포 표면에서 발현되며,
    PD-L1과 결합 시 SHP-2(tyrosine phosphatase) 신호를 통해
    TCR 자극을 차단하고 T세포의 탈진(exhaustion)을 유도합니다.
  • Atezolizumab은 PD-L1에 결합해 이 신호전달을 구조적으로 차단하고,
    CD8+ 세포독성 T세포의 기능 회복을 유도합니다.

② PD-L1 ↔ B7.1(CD80) 상호작용 차단

  • PD-L1은 또한 항원제시세포의 B7.1(CD80)에도 결합할 수 있으며,
    이는 CD28을 통해 이루어지는 T세포 초기 활성화 경로를 억제합니다.
  • Atezolizumab은 이 경로까지 차단함으로써
    항원 인식 초기 단계에서의 T세포 활성 유지를 가능하게 합니다.

구조적 장점

  • Fc 비기능화(Fc-silent) 설계로 ADCC를 유발하지 않음
  • PD-L2는 차단하지 않음 → 자가면역 위험 최소화

궁극적인 효과

  • 면역 억제성 종양 미세환경(TME)을 반전시킴
  • T세포 중심의 항암면역 회복
  • 장기 면역기억 형성 가능성 확대

3. Atezolizumab의 적용 암종과 임상적 의미

Atezolizumab은 2016년 FDA 최초 승인 이후
다양한 고형암에서 적응증을 확대해 왔습니다.

승인된 주요 적응증:

  • 비소세포폐암(NSCLC): 단독 또는 화학요법 병용
  • 삼중음성 유방암(TNBC): PD-L1 양성 환자에서 nab-paclitaxel 병용
  • 요로상피암(방광암): cisplatin 불가 환자 대상
  • 간세포암(HCC): bevacizumab 병용요법 시 1차 치료

대표적 임상시험:

  • IMpower110: NSCLC에서 OS 및 PFS 개선
  • IMpassion130: TNBC 환자에서 면역치료 효과 최초 입증
  • IMbrave150: 간세포암에서 Atezolizumab+Bevacizumab 병용의 우월성 입증

이러한 데이터는 Atezolizumab이
면역 기반 정밀 항암 전략의 중심 치료제임을 입증합니다.

4. 면역 관련 이상반응(irAEs)과 관리

Atezolizumab은 전통 항암제보다 내약성이 우수하지만,
면역 과활성에 따른 부작용이 발생할 수 있습니다.

주요 이상반응:

  • 피부: 발진, 가려움
  • : 간질성 폐렴 (조기 모니터링 필수)
  • : 간염, AST/ALT 상승
  • 내분비계: 갑상선 기능 이상, 부신기능 저하
  • 장관계: 면역성 대장염

관리 전략:

  • 경증: 면밀한 모니터링
  • 중증: 고용량 스테로이드 치료, 치료 일시 중단 또는 종료

5. 향후 확장성과 정밀치료의 중심

Atezolizumab은 향후 다음과 같은 전략과 결합하여
암 치료의 효율성과 정밀도를 높이는 플랫폼으로 작용할 것으로 기대됩니다.

  • 다른 면역관문억제제와의 병용요법 (ex. CTLA-4, LAG-3)
  • 항체-약물접합체(ADC)와의 연계 연구
  • CAR-T, 항암백신 등과의 시너지 전략
  • AI 기반 환자 맞춤 면역 프로파일링 적용

6. 면역을 다시 깨워 암을 겨누게 만드는 항체

Atezolizumab은 단지 면역을 자극하는 것이 아니라,
암세포가 만들어놓은 면역 억제 장벽을 무너뜨리는 정밀한 분자기전 기반 치료제입니다.

PD-L1을 차단함으로써 T세포가 암을 다시 인식하고 공격하도록 만드는 전략,
그 핵심에 Atezolizumab이 있습니다.

암을 무차별적으로 공격하는 시대는 지났습니다.
이제는 ‘우리 몸의 면역을 설득하여 다시 암과 싸우게 만드는 치료제’가 중심이 되고 있으며,
Atezolizumab은 그 대표 주자입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