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성장호르몬은 단순히 키를 자라게 하는 호르몬이 아닙니다.
체내의 대사 균형, 세포 재생, 근육·지방 조절, 심혈관 건강 등
다양한 생리작용에 관여하는 복합적인 조절자입니다.
이 호르몬이 부족하게 되면 소아에서는 성장지연, 성인에서는 근육 감소, 피로, 골밀도 저하 등
다양한 문제가 발생할 수 있습니다.이런 성장호르몬 결핍(Growth Hormone Deficiency, GHD)에 사용되는 대표적인 치료제가
바로 지노트로핀(Genotropin)입니다.
지노트로핀은 인체와 동일한 구조를 가진 재조합 인간 성장호르몬(recombinant human growth hormone, rhGH)으로
소아와 성인의 성장호르몬 대체요법에 널리 쓰이고 있습니다.이번 글에서는 지노트로핀이 체내에서 어떤 방식으로 작용하여 효과를 나타내는지,
그리고 어떤 질환에 활용되고, 어떤 작용기전의 결과를 유도하는지
전문적인 약리기전 중심으로 정리해드립니다.지노트로핀의 약리기전 완전 정리: 성장호르몬과 IGF-1의 관계
지노트로핀이란 무엇인가?
지노트로핀은 제약사 화이자(Pfizer)에서 개발한 성장호르몬 제제로,
191 아미노산으로 구성된 생리활성형 성장호르몬(Somatropin)을 포함하고 있습니다.
이는 사람의 뇌하수체에서 자연적으로 분비되는 성장호르몬과 완전히 동일한 서열과 구조를 가지며,
유전자 재조합 기술을 통해 박테리아(대장균)에서 대량 생산됩니다.주로 피하주사 방식으로 투여되며,
체내에 들어간 후 간과 말초 조직을 자극해 성장 및 대사작용을 유도합니다.
작용기전 ① – 간을 자극하여 IGF-1 생성 유도
지노트로핀은 체내에 주사되면 간의 성장호르몬 수용체(GH receptor)에 결합합니다.
이 결합은 JAK2-STAT5 신호전달경로를 활성화시키고,
그 결과 간세포는 IGF-1(Insulin-like Growth Factor 1)이라는 단백질을 생성하게 됩니다.IGF-1은 성장호르몬의 주요 하위효과물질(effector)로 작용하며,
뼈, 연골, 근육, 장기 등 다양한 조직에 작용하여 성장과 발달을 유도합니다.- 소아에서는 골단판(epiphyseal plate)을 자극해 키 성장 유도
- 성인에서는 단백질 합성 촉진, 지방 분해 증가, 혈당 안정화, 면역 기능 조절
따라서 지노트로핀은 직접적인 성장호르몬 효과 + 간접적인 IGF-1 효과를 동시에 발휘합니다.
작용기전 ② – 말초 조직에 직접 작용
지노트로핀은 간에서 IGF-1을 생성하는 간접 작용 외에도,
우리 몸의 다양한 말초 조직에 직접적으로 작용하여 성장과 대사를 유도합니다.예를 들어, 골격근에서는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고 근섬유의 크기와 수를 증가시키는 작용을 통해
근육량을 늘리고 기초대사량을 향상시킵니다.
이 덕분에 성장호르몬 결핍 환자에서 관찰되는 근육 위축이나 피로감이 개선될 수 있습니다.지방조직에서는 성장호르몬이 호르몬 민감성 리파아제(hormone-sensitive lipase)를 활성화하여
중성지방의 분해를 촉진하고, 유리지방산을 혈액으로 방출함으로써
에너지로 활용될 수 있게 도와줍니다. 이로 인해 체지방은 감소하는 경향을 보이게 됩니다.뼈 조직에서는 골모세포를 자극하고 골단판 성장판을 자극하여
소아의 키 성장을 유도하고, 성인에서는 골밀도를 증가시키는 효과를 나타냅니다.
또한, 심혈관계에서는 혈관 내피 기능을 개선하고 지질대사에 긍정적인 영향을 미쳐,
심혈관 건강 유지에도 기여하는 것으로 보고되고 있습니다.
작용기전 ③ – 대사 조절과 항상성 유지
지노트로핀은 성장뿐 아니라 체내 대사 균형을 유지하는 역할도 매우 중요합니다.
이 약물은 다양한 대사경로에 영향을 주며,
특히 단백질, 탄수화물, 지방의 대사를 조절함으로써 신진대사 항상성에 관여합니다.먼저 단백질 대사에 있어서는 아미노산의 세포 내 유입을 증가시키고, 단백질 합성을 촉진하여
질소 보존 효과를 유도합니다. 이로 인해 근육 형성 및 유지에 긍정적인 영향을 주며,
특히 성인 성장호르몬 결핍 환자에서 관찰되는 근육량 감소 현상을 개선할 수 있습니다.탄수화물 대사에서는 성장호르몬이 인슐린과 길항작용을 하여
일시적으로 인슐린 민감도를 떨어뜨릴 수 있으며,
혈당을 높이는 방향으로 작용하는 경향이 있습니다.
다만, 일반적인 치료 용량 내에서는 당뇨 유발보다는
당 대사 조절 능력을 보완하는 선에서 작용하게 됩니다.지방 대사 측면에서는 앞서 언급한 바와 같이
지방세포 내 지방분해를 촉진하고 혈중 유리지방산을 증가시킴으로써
지방을 에너지로 전환하는 능력을 향상시키며,
동시에 HDL 콜레스테롤을 높이고 LDL 콜레스테롤을 낮추는 지질대사 개선 효과도 보고되고 있습니다.결과적으로, 지노트로핀은 단순한 성장 호르몬 대체에 그치지 않고
근육 강화, 지방 감소, 혈당 조절, 지질 균형 유지까지 포함된
전신적인 대사 조절 기능을 수행하는 약물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지노트로핀의 주요 적응증
소아 대상
- 성장호르몬 결핍(GHD)
- 터너 증후군
- 신장기능 저하에 의한 성장장애
- 자궁내 성장지연(SGA)
- 프라더-윌리 증후군(Prader-Willi syndrome)
성인 대상
- 소아기부터 이어지는 성장호르몬 결핍
- 뇌하수체 손상이나 종양 등으로 인한 후천성 GHD
- 체성분 개선 및 피로, 삶의 질 향상 목적
지노트로핀은 성장과 대사의 핵심을 조절하는 생물학적 치료제
지노트로핀은 단순히 “키 크는 주사”에 그치지 않습니다.
그 작용은 세포 성장, 대사 균형, 체성분 조절, 뇌하수체-간-말초조직 간의 정교한 신호전달계를 조절하는
생리학적 시스템 전체를 다루는 정밀 약리학적 치료입니다.현대 성장호르몬 치료는 단순한 성장 촉진에서 벗어나
삶의 질 개선, 대사질환 예방, 노화 지연까지 고려하는 방향으로 진화하고 있습니다.지노트로핀은 그 중심에 있는 대표적인 성장호르몬 제제로,
체내 신호전달기전과 표적조직의 반응을 기반으로 작용하기 때문에
적절한 대상자 선정과 정밀한 용량 조절이 매우 중요합니다.'약리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골밀도 빠르게 높이는 주사제, 이베니티는 무엇이 다른가? (0) 2025.04.28 데노수맙은 어떻게 작용할까? RANKL 차단을 통한 골흡수 억제 원리 (0) 2025.04.28 DNA 바이러스 치료제, Cidofovir의 작용원리는? (0) 2025.04.26 소마툴린오토젤주사, 란레오타이드는 어떻게 작용할까? 약리기전 완전 정리 (0) 2025.04.26 우울증 약은 왜 체중을 바꿀까? SSRI부터 부프로피온까지 기전 정리 (0) 2025.04.2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