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현대인의 수면장애는 스트레스, 야간 근무, 스마트폰 사용 등 다양한 원인으로 점점 흔해지고 있습니다.
잠을 이루지 못하는 시간이 길어질수록 피로는 누적되고, 다음 날의 집중력 저하는 물론 장기적으로는 우울증, 면역력 저하까지 초래할 수 있습니다.이럴 때 의사의 처방으로 가장 널리 사용되는 수면유도제가 바로 졸피뎀(Zolpidem)입니다.
졸피뎀은 빠르게 잠이 들게 하고 다음 날까지 졸리지 않게 도와주는 속효성 수면제로 알려져 있으며,
벤조디아제핀과 비슷하지만 구조는 다른 비벤조디아제핀계 수면제(z-drug)로 분류됩니다.이번 글에서는 졸피뎀의 약리기전, 뇌에서 어떻게 작용하는지,
그리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왜 내성이 생기고 중단이 어려워지는지까지
전문적이지만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정리해드립니다.
졸피뎀(Zolpidem)이란?
졸피뎀은 수면 개시 장애(insomnia with sleep-onset difficulty)에 처방되는 단기 수면제로,
국내외에서 스틸녹스(Stillnox®), 졸피드엠® 등의 상품명으로 처방되고 있습니다.
보통 10mg 정제 또는 속방정, 서방정, 구강붕해정(ODF) 형태로 복용되며,
복용 후 15~30분 내에 작용을 시작하고 3~4시간 정도 작용이 지속됩니다.졸피뎀은 비벤조디아제핀계 약물(z-drug)이지만
GABA 수용체 복합체에 작용한다는 점에서는
기존 수면제인 벤조디아제핀과 비슷한 약리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졸피뎀의 작용기전 – GABA 수용체 작용 통한 신경 억제
졸피뎀의 핵심 작용기전은 뇌에 존재하는 GABA-A 수용체의 α1 서브유닛에 결합하여
신경의 흥분을 억제하는 것입니다.자세히 설명하자면:
- GABA(Gamma-Aminobutyric Acid)는 뇌에서 가장 중요한 억제성 신경전달물질입니다.
- 졸피뎀은 GABA-A 수용체의 α1 서브유닛에 선택적으로 결합하여,
GABA가 수용체에 결합했을 때 염소이온(Cl⁻)의 유입을 촉진합니다. - 이로 인해 뉴런의 탈분극이 억제되어 신경 흥분이 차단되고,
결과적으로 진정 및 수면 유도 효과가 발생합니다.
다시 말해, 졸피뎀은 GABA의 작용을 강화하는 방식으로 뇌의 과도한 활동을 억제하고,
잠들기 쉽게 만드는 구조입니다.※ 벤조디아제핀도 GABA-A 수용체에 작용하지만, α1 외에도 α2, α3, α5 서브유닛까지 광범위하게 작용하여
근이완, 항불안, 항경련 효과까지 나타나는 반면,
졸피뎀은 주로 α1에 작용하여 수면 효과에 특화된 약물입니다.
졸피뎀의 특성 – 빠르게 작용하고, 잔효과가 적다
졸피뎀은 지용성이 높고 소화관에서 빠르게 흡수되어,
복용 후 30분 이내에 졸음을 유발합니다.반감기가 약 2.5시간으로 짧아
다음 날 아침 졸림이나 인지 기능 저하가 적은 것이 장점입니다.하지만 이런 속효성 구조는
짧은 작용 시간으로 인한 수면유지 한계와
반복 복용 시 내성 및 의존 위험과도 연결됩니다.
졸피뎀은 어떻게 잠이 들게 할까? 작용기전과 내성 원리
졸피뎀 내성이 생기는 원인
처음에는 잘 듣던 졸피뎀이 점차 효과가 약해지고,
복용하지 않으면 잠들기 어려워지는 경험을 하신 분들이 많습니다.
이것이 바로 졸피뎀의 내성(Tolerance)과 의존성(Dependence) 문제입니다.그 이유는 다음과 같은 뇌의 신경적 적응 때문입니다:
1. GABA-A 수용체의 감수성 저하
지속적으로 졸피뎀을 복용하면
GABA-A 수용체가 점차 약물에 덜 반응하게 됩니다.이는 수용체의 수가 감소하거나,
수용체의 형태(구성 서브유닛)가 바뀌면서
동일한 용량으로는 효과가 덜해지는 내성 현상이 발생합니다.2. 뇌의 균형 반응: 흥분성 경로의 상대적 강화
졸피뎀은 억제성 작용만 증가시키므로,
뇌는 이를 균형 맞추기 위해 흥분성 신경전달물질(예: 글루탐산) 작용을 강화하게 됩니다.결과적으로 약을 끊으면
억제성은 약해지고 흥분성만 남게 되어
불면, 불안, 신경과민, 심지어는 반동성 불면증이 나타날 수 있습니다.3. 심리적 의존성
신체적 내성과 더불어,
“이 약 없이는 잠이 안 올 것 같다”는 심리적 의존이 형성되면
수면 패턴을 회복하기가 더 어려워집니다.
졸피뎀 복용 시 주의사항
- 복용은 가급적 2~4주 이내의 단기 사용이 원칙입니다.
- 수면시간 확보가 어려운 상황(4시간 미만 예상 시)에는 복용하지 마세요.
- 복용 후에는 바로 누워야 하며, 운전이나 기계조작 금지
- 노인, 간기능 저하 환자에서는 용량을 줄여야 하며,
기억장애, 몽유병, 수면 중 행동이상 보고도 있습니다.
졸피뎀은 정확히 사용하면 유용하지만, 장기 사용은 주의해야 한다
졸피뎀은 수면개시장애에 효과적인 단기 수면제로,
GABA-A 수용체를 통한 중추 억제작용을 통해 빠르게 수면을 유도합니다.하지만 반복적인 사용은
- GABA 수용체의 반응 둔화,
- 뇌 신경 회로의 불균형,
- 심리적 의존성을 유발할 수 있어,
장기 복용은 반드시 의사의 감독하에 관리되어야 합니다.
자연 수면을 회복하기 위한 인지행동치료(CBT-I),
생활 습관 개선, 비약물적 치료법 병행이 중요하며,
졸피뎀은 보조 수단으로 제한적으로 활용하는 것이 가장 안전한 방법입니다.'약리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정맥주사형 독감 치료제, 페라미비르의 작용기전과 장점 (0) 2025.05.11 수마트립탄 vs 졸미트립탄, 편두통 약의 작용기전 비교 (0) 2025.05.09 β차단제 propranolol, 적응증 따라 달라지는 작용기전 (0) 2025.05.08 졸미트립탄은 어떻게 편두통을 멈출까? 약리기전 정리 (0) 2025.05.07 서카딘은 어떻게 수면을 조절할까? 멜라토닌 서방정 약리기전 정리 (0) 2025.05.05