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목차
말라리아는 플라스모디움(Plasmodium)이라는 기생충에 의해 발생하는 전염병으로, 감염 모기에 물리면 적혈구에 침투해 증식하면서 심각한 증상을 유발합니다. 이 질환은 세계적으로 여전히 중요한 보건 문제이며, 효과적인 치료를 위해 다양한 항말라리아제가 사용되고 있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말라리아 치료제의 종류와 그 작용 기전을 정리해 보겠습니다.
클로로퀸 (Chloroquine)
대표적인 고전 항말라리아제로, 오랫동안 삼일열 말라리아(Plasmodium vivax) 치료에 사용되었습니다. 작용 기전은 다음과 같습니다:
- 말라리아 원충이 적혈구 내에서 헤모글로빈을 분해하는 과정에 관여
- 헤모글로빈 대사 부산물인 헤민(hemin)이 독성을 띠는데, 원충은 이를 무해한 형태로 전환합니다.
- 클로로퀸은 이 과정을 차단하여 독성 물질이 축적되고, 결국 원충이 사멸합니다.
다만, 현재는 일부 지역에서 클로로퀸 내성이 보고되고 있습니다.
퀴닌 (Quinine)
기나나무 껍질에서 유래된 가장 오래된 말라리아 치료제입니다.
- 작용 원리는 클로로퀸과 유사하게 헤모글로빈 대사 억제
- 급성 열대열 말라리아 치료에도 사용되지만, 부작용(청력 손상, 심장 독성 등)이 있어 제한적으로 사용됩니다.
아르테미시닌 계열 (Artemisinin derivatives)
현재 WHO 권장 1차 치료제로, 아르테메터(Artemether), 아르테수네이트(Artesunate) 등이 있습니다.
- 원충이 적혈구 내에서 헤모글로빈을 분해할 때 생성되는 철(Fe²⁺)과 반응
- 유리기(free radical)를 생성하여 원충 단백질과 막을 손상
- 빠른 살충 효과로, 중증 열대열 말라리아에 특히 효과적
보통 다른 약제와 병용 요법으로 사용됩니다.
아토바쿠온-프로구아닐 (Atovaquone-Proguanil, 상품명 말라론)
말라론은 두 가지 성분이 합쳐진 복합 항말라리아제로, 서로 다른 기전을 통해 상승 효과를 나타냅니다.
1.아토바쿠온 (Atovaquone)
- 말라리아 원충 미토콘드리아의 전자전달계(특히 Cyt bc1 complex) 억제
- ATP 합성 억제 → 원충의 에너지 고갈 유도
- 미토콘드리아 막 전위 붕괴 → 원충 사멸
즉, 아토바쿠온은 원충의 에너지 공장(미토콘드리아)을 마비시킵니다.
2. 프로구아닐 (Proguanil)
- 체내에서 활성대사체인 **시클로구아닐(Cycloguanil)**로 전환됨
- 이는 디히드로폴레이트 환원효소(DHFR, Dihydrofolate Reductase) 억제제로 작용
- 원충의 DNA·RNA 합성과 단백질 합성을 차단
- 세포 분열과 성장 억제
즉, 프로구아닐은 원충의 핵산 합성 엔진을 멈추게 만듭니다.
3. 병용 효과 (Synergistic effect)
- 아토바쿠온이 미토콘드리아 기능을 억제 → 프로구아닐의 대사 과정이 촉진되어 효과 상승
- 서로 다른 표적을 동시에 억제하여 내성 발생 억제 + 강력한 살충 효과
메플로퀸 (Mefloquine)
클로로퀸 내성 말라리아 치료 및 예방약으로 사용됩니다.
- 적혈구 내에서 기생충의 단백질 합성과 대사 억제
- 내성 발생 위험이 있어 단독 사용보다는 제한적으로 활용
프리마퀸 (Primaquine)
프리마퀸은 8-아미노퀴놀린(8-aminoquinoline) 계열의 항말라리아제입니다.
다른 항말라리아제와 달리, 간 단계(저간체, hypnozoite)에 직접 작용하는 유일한 약물이라는 점이 특징입니다.약리기전
- 간 내 잠복 원충 제거
- Plasmodium vivax, Plasmodium ovale는 간세포 내에 저간체(hypnozoite) 형태로 잠복하여 수주~수개월 후 다시 혈액 감염을 일으켜 재발을 유도합니다.
- 프리마퀸은 이 저간체의 미토콘드리아 전자전달계에 손상을 일으켜 에너지 대사를 억제하고 사멸시킵니다.
- 원충의 DNA 손상 유발
- 프리마퀸은 산화적 대사 과정에서 활성산소(ROS, Reactive Oxygen Species)를 생성합니다.
- 이는 원충의 DNA와 세포막을 공격하여 치명적인 손상을 줍니다.
- 혈액 단계 일부 억제 효과
- 프리마퀸은 주로 간 단계에 작용하지만, gametocyte(유성생식체) 단계에도 작용하여 원충이 모기를 통해 전파되는 것을 차단하는 효과도 있습니다.
⚠️ 주의사항
- G6PD 결핍 환자에서 용혈성 빈혈 발생 위험이 있어 반드시 선별검사가 필요합니다.
- 임신부에게는 투여 금지.
독시사이클린 (Doxycycline)
항생제이지만 말라리아 예방 및 치료에 보조적으로 사용됩니다.
- 원충의 단백질 합성 억제
- 주로 군인이나 장기간 체류자 예방약으로 활용
맺음말
말라리아 치료제는 원충의 생명 활동을 차단하는 다양한 기전을 가지고 있습니다. 세계적으로 내성 문제가 점점 커지고 있기 때문에, 치료제 선택은 반드시 전문가 진단과 처방에 따라야 합니다. 여행이나 파병, 연구 등으로 말라리아 위험지역에 갈 계획이 있다면 반드시 예방약 상담을 받아 건강을 지키시기 바랍니다.
'약리작용' 카테고리의 다른 글
어린이 칼슘 영양제, 어떤 성분이 좋은가요? [성장기 필수 가이드] (0) 2025.09.04 말라리아 양성모기 경보! 국내 위험지역과 예방·치료제 총정리 (0) 2025.09.03 팍스로비드 작용원리|코로나 먹는 치료제의 기전과 효과 (1) 2025.09.01 코로나19 증가세, 팍스로비드 복용 대상과 효과 정리 (0) 2025.08.29 2025년 코로나 변이 바이러스 총정리|KP.2·KP.3·JN.1 차이는? (2) 2025.08.28